[작성자:] lawpid

  • 임차권등기명령 신청 후 이사, 보증금 받을 수 있을까? (대법원 2024다326398 판결 분석)

    안녕하세요! 로피드법률사무소의 하희봉 변호사입니다. 😊 전세나 월세 계약이 끝났는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 정말 막막하죠. 특히 이사는 가야 하는데 보증금을 못 받아서 발이 묶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많은 분들이 ‘임차권등기명령’ 제도를 활용하는데요, 최근 이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대법원 판결(2024다326398)이 나와서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하고 나서, 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이사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 판결을…

  • 사기 사건, 공소사실이 추가된다면? 대법원 판결로 본 ‘공소장변경’의 모든 것 (2025도903)

    안녕하세요, 로피드법률사무소의 하희봉 변호사입니다. 👨‍⚖️ 형사재판을 받던 중, 검사가 갑자기 새로운 혐의를 추가하거나 기존 혐의 내용을 바꾸겠다고 하면 피고인 입장에서는 매우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어요. “아니, 재판이 거의 끝나가는데 이제 와서 다른 죄까지 묻는다고?” 하는 생각이 들 수 있죠. 이런 절차를 법률 용어로는 ‘공소장변경’이라고 합니다. 최근 대법원에서 이 공소장변경, 특히 여러 차례 반복된 사기 사건과 관련된…

  • 방위산업 전시회 시위 사건, 대법원은 왜 업무방해죄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했을까? 🤔 (2024도16921)

    안녕하세요! 복잡한 법률 문제를 명쾌하게 풀어드리는 로피드법률사무소의 하희봉 변호사입니다. 최근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졌던 ‘방위산업 전시회 시위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2024도16921)이 나왔는데요. 오늘은 이 사건을 통해 업무방해죄와 표현의 자유에 대해 쉽고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방위산업 전시회장에서의 외침, 그리고 업무방해 기소 2022년 9월,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대규모 방위산업 전시회 현장. 다수의 관람객이 전시를 관람하던 중,…

  • 전세권 있는 공유 부동산 지분 사해행위, 취소 범위는 어떻게 정할까? (2024다312566)

    전세권 있는 공유 부동산 지분 사해행위, 취소 범위는 어떻게 정할까? (2024다312566)

    안녕하세요! 🙋‍♂️ 복잡한 법률 문제를 명쾌하게 풀어드리는 로피드법률사무소의 하희봉 변호사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특히 여러 사람의 권리가 얽힌 공유 부동산과 관련된 사해행위 취소 소송에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한 최신 대법원 판결(2024다312566)을 알기 쉽게 해설해 드리려고 합니다. 사해행위 소송은 채권자와 채무자, 그리고 재산을 넘겨받은 사람(수익자) 사이에 첨예한 다툼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특히 부동산 지분 거래에 이미 설정된 전세권…

  • 해외 파견 후 조기 퇴사, 회사 지원 비용 전부 반환해야 할까? – 대법원 판결로 본 근로기준법 제20조 위약예정금지

    안녕하세요! 든든한 법률 파트너, 로피드법률사무소의 하희봉 변호사입니다. 😊 혹시 회사 지원으로 해외 연수나 파견을 다녀온 경험이 있으신가요? 좋은 기회였지만, “파견 기간의 2배는 의무적으로 근무해야 한다”거나 “중도 퇴사 시 지원 비용 전액 반환” 같은 약정 때문에 퇴사나 이직을 망설였던 적은 없으신가요? 😥 오늘은 이렇게 많은 직장인들의 발목을 잡는 ‘의무복무 및 비용 반환 약정’에 대해, 특히 최신…

  • 미슐랭 3스타 레스토랑 ‘모수 서울’ 예약 사기 사건, 식당의 법적 책임은 어디까지일까요? (로피드법률사무소 분석)

    들어가며: 유명 레스토랑을 둘러싼 예약금 사기 논란 🤔 안녕하세요, 로피드법률사무소의 하희봉 변호사입니다. 최근 미슐랭 3스타를 받은 유명 레스토랑 ‘모수 서울’에서 예약금을 노린 안타까운 사기 사건이 발생해 많은 분들이 놀라셨을 거예요. 😢 안성재 셰프의 명성과 ‘흑백요리사’ 출연으로 더욱 인기가 높아진 곳이라 파장이 더 컸죠. https://www.fnnews.com/news/202504091130428852 피해자들은 식당을 믿고 예약 전화를 걸었다가 1인당 수백만 원의 피해를 입었고,…

  • 가압류 끝났는데 공탁금은 왜 안 돌려주나요? 🤔 ‘소송완결’의 의미 (대법원 2009마1073 결정 분석)

    안녕하세요! 당신의 든든한 법률 파트너, 로피드법률사무소 하희봉 변호사입니다. 가압류나 가처분 같은 보전처분을 신청하면서 법원에 담보로 돈을 맡겨두신 경험, 있으신가요? 이 돈을 ‘담보 공탁금’이라고 하는데요. 나중에 사건이 잘 마무리되면 당연히 돌려받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막상 돌려받으려고 할 때 예상치 못한 문제에 부딪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가압류(가처분)는 이미 취소됐는데, 왜 공탁금을 안 돌려주지?” 하는 의문을…

  • [하도급 대금 분쟁] 직불합의 vs 압류, 무엇이 우선할까? (대법원 2021다273592 판결 분석)

    안녕하세요! 로피드법률사무소의 하희봉 변호사입니다. 😊 건설 현장에서 하도급 대금 문제는 정말 끊이지 않는 것 같아요. 특히 하수급인 입장에서는 공사를 열심히 하고도 대금을 제때 받지 못할까 봐 늘 걱정이 많으시죠. 그래서 발주자와 원청(수급인), 그리고 하수급인 셋이서 “하도급 대금은 발주자가 하수급인에게 직접 주기로 하자!”라고 약속하는 ‘직불합의’를 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만약 직불합의를 했는데, 원청(수급인)의 다른 빚 때문에 채권자들이…

  • 부당 인사고과와 임금 불이익, 언제까지 주장할 수 있을까? 대법원 판례로 본 ‘계속하는 행위’와 구제신청 기간 ⏰

    안녕하세요! 로피드법률사무소의 하희봉 변호사입니다. 😊 혹시 회사에서 낮은 인사고과를 받거나 승진에서 계속 누락되면서 월급까지 줄어든 경험, 있으신가요? 단순히 운이 나쁘거나 내 능력이 부족해서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때로는 이것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노동조합 활동 등을 이유로 불이익을 받았다면 더욱 그렇죠. 그런데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에는 ‘3개월’이라는 짧은 제척기간(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마감일)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건설 현장 굴착기 사고,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적용될까? 최신 대법원 판례 분석 (2024도15542)

    들어가며: 작업 중 굴착기 사고, 단순 산업재해일까 교통사고일까? 🤔 건설 현장에서 굴착기나 덤프트럭 같은 건설기계로 인한 사고 소식, 종종 접하게 되죠. 흔히 이런 사고는 ‘산업재해’로만 생각하기 쉬운데요. 그런데 만약, 굴착기가 작업 중에 이동하다가 사람을 다치게 했다면 어떨까요? 이것도 일반적인 자동차 사고처럼 교통사고로 볼 수 있을까요? 🚧 최근 대법원에서 바로 이 문제와 관련된 중요한 판결이 나왔습니다.…